Spring

부스트코스 -7 스프링MVC
MVC는 모델 뷰 컨트롤러의 약자이다. 모델은 데이터가 들어있는 데이터셋이다. 주문목록, 사용자정보, 주문내역이 이에 해당한다. 뷰는 보이는 화면이다. 모델의 데이터를 사용해서 렌더링한다. jsp나 pdf, xml등의 파일로 구현한다.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액션에 응답하는 컴포넌트다. 사용자가 데이터입력을 하면 컨트롤러가 입력한 데이터를 모델에다 넣는등 이벤트를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링 MVC 기본 동작 흐름 그림에서 파란색 부분은 스프링에서 제공한다. 그림의 순서를 살펴보자 1. 클라이언트가 요청한다. 클릭을하던, url을 입력하든 등등... 그런 모든 요청들이 DispatcherServlet이 받는다. 2. 요청을 분할하기 위해 HandlerMapping에게 물어본다. 어떤컨트롤러, 어떤 메소드를..

부스트코스 웹앱개발 -6 스프링JDBC
하면 할수록 어렵다. 그래서 이번엔 강의따라 만든 JDBC프로그램을 아는 한도 내에서 해체해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이 사진을 보고 어떻게 만들지 머리속으로 구상해야 한다는데 전혀 되지 않는다. 그래서 생각의 과정을 무작정 따라해보기로 했다. 저 사진중에 몇몇은 스프링이 알아서 만드니 따로 클래스를 만들 필요는 없다. 사진해석 ApplicationContext는 따로 안만들어도 된다. 그림1을 보면 config가 두개 dao가 2개 dto가 한개다. 그래서 각각 패키지를 만들어준다. config 패키지 dao패키지 dto 패키지 그리고 저 클래스들을 가져와 실행해줄 실행파일이 들어있는 main패키지 첫 번째 생각 순서 먼저 db연결이 잘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DBConfig클래스와 ApplicationC..
부스트코스 웹앱개발 -5 스프링
Bean class란 스프링에서 만든 자바객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XML로 파일을 읽을 때 Bean을 사용하는 방법은 bean에다 나중에 호출할 때 찾을 수 있게 id값과 내가만든bean의 위치를 class="주소"에 넣는다. 이렇게 bean을 설정하면 Engine e = new Engine(); Car c = new Car(); 이 부분을 실제코드에서 작성하지 않아도 되고 ApplicationContext ac =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 "classpath:applicationContext.xml"); Car car = (Car)ac.getBean("car"); car.run(); 실제 동작부분만 입력하면 된다. 위의 방법보다 더 간편한 것이 java conf..